발주 뜻 완전정리 | 발주·수주 차이·발주서 작성법
발주 뜻 완전정리 | 발주·수주 차이·발주서 작성법
발주는 “요구 조건을 문서로 확정해 공급자에게 공식 요청하는 행위”다.
주문보다 계약 성격이 강하고, 구매 직전 단계의 핵심 통제 지점이다.
실무자는 정의·차이·서류·리스크를 체계로 이해해야 오류를 줄인다.
발주, 한 문장 정의
발주란 수량·규격·단가·납기·인도·대금조건 등 거래 조건을 명시한 문서(발주서, PO)로 외부 공급자에게 물품·용역을 공식 요청하는 B2B 행위다.
발주 vs 주문 vs 구매
구분 | 의미 | 문서화 | 사용 맥락 |
---|---|---|---|
발주 | 공급 요청의 계약적 확정 | 발주서(PO) 필수 | B2B, 프로젝트·자재·용역 |
주문 | 일반적 구매 요청 | 선택(영수증·주문서) | B2C, 일상 구매 |
구매 | 검수 후 대금 지급 완료 | 검수서·세금계산서 | 회계 인식 시점 |
발주 vs 수주
관점 | 행위 | 핵심 문서 | 책임 |
---|---|---|---|
발주자(구매자) | 요건 정의·요청 | 발주서, 계약서 | 요구 명확성·검수·대금 |
수주자(공급자) | 수락·이행 | 수주확인서, 납품서 | 품질·납기·하자보수 |
발주 프로세스 5단계
- 요건정의 : 품목·규격·수량·납기·단가 기준 수립
- 업체선정 : 견적·입찰·적격성(납기력·품질·신용) 평가
- 발주확정 : PO 발행, 계약·부속특약 체결
- 납품·검수 : 수량·규격·품질·서류(시험성적서 등) 확인
- 정산 : 세금계산서 수취, 대금지급, 클레임 처리
발주서(PO) 필수 항목
발주번호/일자 | 공급사명/사업자번호/담당자 |
품명/규격/단위 | 수량/단가/공급가/부가세/합계 |
납기일/납품장소/인도조건 | 검수기준/하자보수/페널티 |
결제조건(선/후/분할) | 첨부(견적·도면·시방·샘플) |
특약(지연배상, 비밀유지, 지재권) | 서명/직인/연락처 |
실무 체크리스트
발주 전
- 대체품·리드타임·MOQ 확인, 안전재고 재점검
- 단가 기준일·환율·운임 변동 반영
- 샘플 승인·시험기준 문서화
발주 중
- PO-견적 일치(품목·규격·단가)
- 납품분할·라벨·포장 스펙 지정
- 지연 시 페널티·대체공급 트리거 명시
발주 후
- ASN/송장 선수취, 입고 예약
- 수입검사 수준(AQL)·불량 처리 SLA
- 세금계산서 매칭, 미결 관리
리스크와 예방
- Stock-out : 수요예측·안전재고·리드타임 상향
- 과다재고 : 발주 로트 최적화, VMI·컨사인먼트 검토
- 품질불량 : 샘플·PPAP·초도강화검사
- 납기지연 : 2차 벤더 백업·지연배상특약
- 분쟁 : 계약서·PO·커뮤니케이션 로그 보존
ERP/시스템 팁
- 품목코드·버전 관리(규격 변경 추적)
- PO 승인 워크플로우·한도 설정
- 입고·검수·세금계산서 3자 매칭(3-Way Match)
- 대체품 자동 제안·리드타임 SLA 모니터링
미니 시뮬레이션
월 수요 2,000ea, 리드타임 14일, 서비스수준 95%(Z=1.65), 일수요 표준편차 20ea.
- 안전재고 ≈ 1.65 × 20 × √14 ≈ 123ea
- 리오더포인트(ROP) = 일평균수요(≈67) × 14 + 123 ≈ 1,061ea
ROP 미만 전에 발주해야 품절 리스크가 낮다.
FAQ
Q. 견적만 있으면 되나?
A. 아니다. PO(발주서)가 계약 이행 기준이 된다.
Q. 메일·카톡 합의도 유효한가?
A. 증거가 될 수 있으나 표준 계약·PO가 분쟁 리스크를 낮춘다.
Q. 부분 납품은?
A. PO에 분할 허용·정산 방식·지연 페널티를 명확히 기재한다.
댓글
댓글 쓰기